주식 per , 주식 pbr 초간단 <정리>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주식용어 per는 무엇이고
pbr은 무엇인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per 주식 * pbr 주식
PER과 PBR의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PER :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1주당 순이익 비율
PBR :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1주당 순자산 비율
1주당 순이익이 높아지면 per는 낮아지죠...
네 그렇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PER이 낮으면 낮을수록
더 가치가 있는 주식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또 단순하게 생각할수 없습니다
산업별,종목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바이오주 같은 경우
굉장히 고per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기도 합니다
주식 참 어렵죠..
PBR도 마찬가지 입니다.
주당 순자산이 높을수록 pbr은 낮아집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역시 PBR도
낮으면 낮을수록 더 가치가 있는 주식입니다.
저per,저pbr이 좋지만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PER, PBR이 높아도
성장가능성이 많다고 판단되는 회사의 주식은
얼마든지 주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제약,바이오주 등)
반대로 너무 낮게 PER, PBR이 나온 회사는
앞으로 성장성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 살펴봐야 합니다
따라서 적정 PER, PBR 산출을 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면 적정 PER, PBR은 어떻게 산출을 할까요?
보통 동종업종의 평균 PER과 PBR을 살펴본 후 판단을 하게 됩니다
같은 제약주라치면
A회사는 per가 10
B회사는 per가 3
그럼 b회사를 사는게 유리하겠지만
b를 산다고 해서 꼭 오르는것은 아닙니다
주식을 직접 해보면 아시겠지만
공식이나 룰에 따라 움직이지 않습니다
주식시세는 사람의 심리와 탐욕이 있는 시장입니다..
사람 마음 알수없듯이
주식 역시 굉장히 어렵습니다..
이것으로 주식 per,주식 pbr 정보 포스팅 마칩니다